절대 섞으면 안되는 청소용품 조합에 대해 전해드릴게요.
주방이나 화장실 등을 청소할 때 세제,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 식초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는데요. 워낙 이름이 비슷하고 효과에 대해 잘 모르다보니 이것저것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런 제품들은 잘 이해하고 사용해야 하는데요. 그 이유는 잘 못 섞으면 오히려 효과가 떨어지기도 하고, 유독가스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올바른 사용법
베이킹소다 - 세척, 탈취, 세정, 섬유유연
베이킹 소다는 주방 기름때를 제거할 때 주로 사용해요. 사용법은 종이컵 1컵의 물과 베이킹소다 1T을 섞어 주면 돼요. 비율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 정도만 섞어줘도 충분해요.
과탄산소다 - 살균, 세정, 탈취, 세정, 표백
과탄산소다는 주로 표백을 위해서 사용해요. 하얀 옷이나 모자에 생기는 때를 제거할 때 사용하면 좋고 표백효과가 있어서 다시 하얀색으로 돌아오는 걸 볼 수 있어요. 또한 세탁기 청소를 할 때에도 사용하는데요. 다만, 충분히 녹이기 위해서 미온수를 사용해야 해요.
비율은 종이컵 1컵의 물과 과탄산소다 1T를 섞어 주면 되는데요. 사용하는 곳이 철이나 구리, 쇠라면 얼룩이 남기도 하니 참고해주세요.
구연산 - 물때 제거
구연산은 주로 물때를 제거할 때만 사용해요. 개수대, 욕실, 변기, 하수구 등 물때가 생기는 곳에서 사용하는데요. 산성을 띄고 있기에 이용에 조심해야 해요. 커피포트 세척, 냄비 물때 세척, 싱크대 물때 제거 등에 유용하니 참고해주세요.
비율은 종이컵 1컵의 물과 구연산 1T를 섞어 주면 돼요.
잘 못 알고 있는 사용법
과탄산소다 +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도 알칼리성이고 베이킹소다도 알칼리성인데요. 그렇기에 두 제품을 섞는 건 의미가 없어요. 그 이유는 과탄산소다가 베이킹소다보다 더 강한 알칼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만약 2제품을 섞는다면 오히려 알칼리성이 약해지는 걸 확인할 수 있게되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표백과 세정을 원한다면 과탄산소다만을 사용하고, 표백없이 세정만 원한다면 베이킹소다를 사용해야 해요.
구연산 +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
구연산은 약산성이고 베이킹소다와 과탄산소다는 알칼리성인데요. 이것들을 섞는다면 중성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효과가 약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그냥 맹물과 다를 것 없는 효과를 얻을 수 있죠.
베이킹소다 + 식초
베이킹소다와 식초도 섞으면 안돼요. 많이 오해하고 있는 조합인데요. 사용해 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거품이 부글부글 끓으면서 효과가 확실하다는 기분이 들었을 거에요. 이때 발생하는 건 탄산가스와 초산나트륨인데요.
이런 반응은 열이 발생하고 피부로 튀어서 위험할 수 있고, 이 거품은 단순히 중화반응을 일으키며 기체가 발생하는 것이라 세정력과는 무관해요. 그래서 사용하려고 한다면 두 가지를 따로 사용해주는 걸 권해드려요.
언제 사용하면 될까?
커피포트 세척
커피포트를 보면 물때가 있을 때가 있어요. 커피포트는 세척하지 않으면 하얀 물때가 생기는데 몸에 해로운건 아니지만 세척을 하지 않는다면 세균이 많아질 수 있어서 주기적으로 할 필요가 있어요. 이럴 때에는 구연산을 사용해보세요.
샤워기, 개수대, 싱크대 물때
커피포트와 마찬가지로 물때 제거를 할 때에는 구연산을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에요. 구연산이 없다면 레몬즙이나 식초로 대신하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너무 효과가 없다고 생각된다면 락스를 사용하기도 해요.
락스는 그냥 사용하기에는 너무 강해서 락스와 물을 1:10 정도로 섞어서 사용하시길 바라요. 만약 피부가 약한 분들이라면 아에 사용하지 않는 걸 권해드려요.
인덕션 청소
인덕션 청소는 여러가지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절대 수세미로 닦으려고 하지 마세요. 자칫하면 스크레치가 생기기도 하고, 인덕션의 수명에 문제가 생기기도 해요. 그래서 얼룩(물때), 스크레치, 그을음이나 탄 자국에 따라 다른 조치가 필요해요.
청소를 마쳤다면 인덕션 보호 매트를 사용해보세요. 인덕션 보호 매트를 사용하면 인덕션을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무엇보다 잔 스크레치나 탄 자국이 거의 생기지 않아서 좋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