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비콘을 만들고 티스토리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전해드릴게요.
파비콘(favicon)은 즐겨찾기(favorites)와 아이콘(icon)의 합성어에요. pc화면이라면 접속해 있는 웹 사이트 상단에 보면 어떠한 아이콘이 있는 걸 볼 수 있을거에요. 모바일 화면이라면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아무거나 검색을 한 뒤 웹 사이트 주소 옆에 있는 아이콘을 확인해보세요.
파비콘이라는 단어 자체가 생소해서 만드는 방법도 어려울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실 정말 쉬워요.
파비콘 만드는 방법
대략적인 순서는 파비콘을 만들 사진을 하나 구한 뒤 파일을 ico(파비콘)로 변경하는 거에요. 엄청 간단하죠.
- favicon & app icon generator 사이트 접속
- 미리 준비해 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해 진행해요.
- 절차대로 진행 후 [creatz favicon] 선택하기
- 다운로드 된 압축풀기
이렇게 모든 과정을 거치고 나면 거의 완성되는데요. 다만 압축을 풀고나면 확장자가 ico 뿐만 아니라 png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그 중 ico로 끝나는 파일 하나만 사용할건데요. 나머지 파일은 원하는 곳에 사용해도 좋아요.
티스토리 파비콘 적용하기
파비콘이 있으면 검색을 했을 때 다른 업체와는 다른 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나면서 조금 더 눈에 띄는 효과가 있어요. 아무래도 기존에는 t스토리 아이콘 혹은 그냥 지구모양 인터넷아이콘이어서 눈에 잘 띄지 않았으니까요.
이미 만들어진 파비콘이 있다면 티스토리에서 적용하는 건 쉬워요.
- pc 티스토리 로그인
- [관리] 메뉴에서 [블로그] 선택
- 파비콘 불러오기 선택 후 설정
위 방법이 전부인데요. 제 경우 파비콘 제작부터 설정까지 5분도 걸리지 않았어요.
파비콘을 설정하면 생기는 효과?
파비콘때문인 지 정확하게 분석할 수는 없지만 파비콘 설정 이후 체류시간과 유입 인원이 증가했음을 확인했어요. 저는 구글링을 자주하는데요. 검색을 했는데 파비콘이 기본 지구모양인 사이트보다는 티스토리 아이콘이나 다른 아이콘이 있는 곳에 더 손이 가더라고요.
물론 가장 중요환 건 안에 내용지겠죠. 겉에 눈이 가는 파비콘을 설정했다고 해도 내용물이 다르거나,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디면 결국 어떻게 해서든 높은 순위의 글이 아니라 아래로 내려오게 돼요.
파비콘은 부가적인 내용일 뿐 반드시 필요한 건 아니지만 설정을 해서 나쁠건 없는 것 같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