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청소 비용 부담을 누가 해야 하는 지 전해드릴게요.
지금 거주하고 있는 공간이 어디인가요? 아파트, 독립주택, 빌라, 원룸, 오피스텔 등 다양한 주거 시설이 있는데요. 다른 주거시설과 달리 원룸이나 오피스텔은 임대인(집주인)이 임차인이 사용할 수 있는 가구들을 비치해두어요.
이런 부분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런 가구들을 "옵션"이라고 해요. 모두가 같은 조건의 옵션을 제공하는 건 아니지만 대부분 tv, 세탁기, 신발장, 침대, 에어컨 등을 제공하는 편이에요.
이렇게 기본 옵션이 있으면 임차인이 준비해야 하는 물건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편안한 시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그렇다면 이런 기본 옵션은 임대인(집주인)의 것인데요. 청소를 임차인(거주자)가 하는 게 맞을까요?
에어컨 청소는 집주인의 몫!
에어컨 청소를 처음 하는 분들은 하다보면 조금 힘이 들 때가 있어요. 그럴 때면 내가 왜 에어컨을 청소해야 하나 고민을 하기도 하죠. 당연히 습하지 않고, 시원한 여름을 보내고 싶다면 청소를 해야 해요. 하지만 문득 "에어컨은 집주인 건데 왜 내가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 수 있어요.
에어컨 청소는 집주인의 몫이 아니에요. 집주인이 청소를 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청소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임대인의 의무, 임차인의 의무
- 임대인 - 임차인에게 주택을 사용할 수 있게 환경을 구성해 놓을 의무
- 임차인 - 임대인의 주택을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로 보존해야 할 의무
임차인이 이미 집에 들어와서 생활하고 있는 이상 임차인은 주택을 보존해야 하는 의무가 있어요. 만약 임차인이 입주를 하지 않았다면 임대인은 임차인이 주택을 사용할 수 있게 환경을 구성해 놓을 의무가 있고요.
즉, 에어컨 청소를 직접 하기 싫다면 입주할 때 에어컨 청소가 되어 있는 지 확인하고 청소를 미리 요청하라는 거예요.
에어컨 청소는 필수일까?
임대인의 에어컨 청소는 필수일까?
보통 주택을 보러 오는 사람들은 에어컨 청소가 되어 있는 지 묻는 편이에요. 그리고 청소가 안되어 있다면 청소를 요청하죠. 이때 에어컨 청소를 거절하고 수락하는 건 본인의 몫이에요.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모를까 에어컨 청소를 하지 않았다고 해서 생활할 수 없는 환경이 되는 건 아니니까요.
임차인의 에어컨 청소는 필수일까?
임차인도 임대인이랑 마찬가지에요. 에어컨 청소를 하지 않는다고 문제가 되지는 않아요. 다만, 여름을 나기 위해서 에어컨을 청소하는 편이에요.
에어컨 청소하는 방법
돈을 아끼고 싶다면 직접 에어컨 청소를 하고, 조금 비싸더라도 업체를 부르고 싶다면 업체에 에어컨 청소를 문의하면 돼요. 다만 생각보다 에어컨 청소가 간단하다는 점과 에어컨 청소 비용은 비싸다는 걸 알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