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제작 중이던 파일이 날라갔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한글, ppt, 엑셀, 워드 등 다양한 문서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자료를 만들곤 하는데요. 불가피한 상황에 의해서 파일을 저장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어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파일을 저장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좋지만 더 좋은 방법이 있는데요. "자동으로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과 "지워진 or 저장되지 않은 문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전해드릴테니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지워진 or 저장되지 않은 문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
문서(ppt, 엑셀, 한글 등)을 작성하다가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강제종료가 되는 경우가 있어요. 반드시 이런 경우가 아니라도 pc가 강제 종료되는 등의 사고로 인해 문서가 저장되지 않는 사고가 발생하곤 하는데요.
이럴 때 해당 프로그램을 바로 다시 실행하면 이전에 작성하던 내용이 어느정도 복구가 되어서 열리게 돼요. 만약 바로 복구가 되지 않았다면 ppt를 기준으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지 전해드릴게요.
window
- 내 pc - c드라이브 - 사용자 - pc 이름 폴더 (default, 공용 등 폴더는 아님) - appdata(투명폴더) - roaming - microsoft - power point - 파일이름.tmp를 .ppt로 이름 바꾸기 - 파일 열기
순서대로 진행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요. 다만 appdata 폴더는 안 보일수도 있어요. 이때에는 폴더 상단에서 [보기]를 선택한 뒤 숨김 폴더를 확인해보세요.
mac
- 파일 - 옵션 - 저장 - 복구파일 위치 확인
조금 더 간단한 방법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위에 절차를 건너뛰는 방법이 하나 있어요. 둘 중 쉽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사용해보세요. 다만 윈도우에만 해당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어주세요.
- %temp%를입력하고 확인해주세요. (이때 열리는 폴더는 임시 저장된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이에요.)
- [.tmp]로 끝나는 파일 중 찾는 파일의 확장자를 [.ppt] 등으로 변경해서 확인해주세요.
만약 위에 방법을 시도할 수 없다면?
위 방법으로 해결하지 못했다면 안타깝게도 저는 문제를 해결해드릴 수 없어요. 하지만 다음에 또 같은 문제가 생기면 위에 방법을 통해 복구할 수 있도록 설정하라고 조언하고 싶은데요.
방법은 간단해요.
- ppt or word 등 원하는 프로그램 실행
- ppt 옵션 - 저장 -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 설정
- 본인의 작업 속도에 따라 설정하기 (예시 - 10분)
- [기본적으로 컴퓨터에 저장] 활성화하기
위에 작업 중 자동 저장되는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작업물의 용량이 크거나 해상도가 높은 사진이나 동영상이 많은 경우 저장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너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면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도 있어요.
그렇기에 저는 10분 ~ 20분 사이로 설정해두는 걸 권해드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