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 경제, 대출, 보험/주식, 경제, 재테크, 가상자산

티씨케이 주가 - 삼성전자가 불황이어도 최근 7년간 20배 상승한 기업

by 청년실업자 2021. 4. 5.

👨‍💻 삼성전자가 상승할 때 함께 성장하는 기업! 케이엠더블유 보러가기!

케이엠더블유 주가 - 5G 관련주 지금 사도 될까?

👨‍💻 케이엠더블유 주가 전망 - 싸다 싸! 케이엠더블유 주가 - 더 이상 나올 악재도 없다 📋 기업의 적정 주가 구하는 방법 - 인전마진 주식투자에 반드시 필요한 상식 적정 주가 구하는 방법

assetlike.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기업은 티씨케이인데요.


삼성전자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보다 시가총액이 더 낮기에 더 높은 주가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지어 삼성전자가 기업들과 경쟁으로 어려울 때에도 최근 7년간 약 2000% 이상 주가 상승을 보여줬는데요.

티씨케이 재무재표를 통해서 기업 분석과 주가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는 "DART"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전자공시

m.dart.fss.or.kr

>>> TCK 기업 개요


TCK는 1996년 08월 07일 자로 고순도 흑연제품의 제조, 수입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한국 도카이카본(주)'로 설립되어 인조흑연 및 기타 탄소제품의 제조 및 수입업과 무역대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성시에 본점, 공장 및 기업부설연구소를 가지고 있으며, 2003년 08월에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KRX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는데요.


TCK가 영위하는 사업은 반도체, 태양전지 및 LED용 부품전문 제조로 주력제품은 국내 최초로 가공공정, 고순화공정, CVD SiC-Coating공정의 일괄생산체제로 제조되고 있는 반도체 및 태양전지 Grower장비부품인 고순도 Graphite와 국내 유일하게 국산화에 성공한 LED Chip 생산용 Susceptor, 반도체 장비용 SiC-Ring, SiC-Wafer 등을 제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및 태양전지 Grower장비 고순도 Graphite 제품


반도체용 실리콘 Wafer 및 태양전지용 Wafer를 생산하기 위한 Grower 장비의 부품으로 Graphite(인조흑연)를 원재료로 하여 생산되는 제품입니다.


본 제품의 특징으로는 고온에 강한 내열성, 온도와 강도의 비례성, 높은 열전도율, 금속보다 낮은 열팽창률, 높은 내화학성이 있는데요.


이런 특징으로 인하여 Grower 장비의 Heater, Crucible, Gr Shield/Ring류, Reflector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Hotzone, Heater, Outer (반도체 및 태양전지 Grower 장비), (사진 : TCK)

>>> LED MOCVD 장비용 고순도 SiC 제품


LED용 Chip 생산장비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밀 가공기술 및 고순도흑연 일괄생산기술과 CVD SiC Coating 기술을 접목시킨 장비의 부품으로 Graphite(인조흑연)를 원재료로 하여 생산되는 제품입니다.


본 제품의 특징으로는 초고순도, 우수한 내화학성인데요.


이런 특징으로 인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용/ LD(Laser Diode)용 Susceptor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TaC Coated Susceptor / SiC Coated Susceptor (사진 : TCK)

>>> 반도체 장비용 SiC Ring 제품


반도체 Etcher 공정에서 기존 Material에 비해 Life time 증대로 인한 Cost down 및 생산성 개선에 기여한다는 목적하에 오랜 기간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2013년부터 고객사에 양산 공급을 시작하여 2015년부터 장비 제조사 / Device 제조사에 본격적으로 양산 실적을 보이고 있는 제품입니다.


향후 Si 및 Quartz를 CVD SiC로 대체하여 전환되는 시장은 점차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SiC Ring, Dummy Wafer, Shower Head (사진 : TCK)

위 내용들은 TCK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인 내용인데요.


따로 공부를 하지 않는 이상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여기까지만 이야기하겠습니다.


원래도 잘 나가던 TCK의 주가 반등에는 다양한 호재들이 존재했는데요.

지난해부터 반도체의 값이 계속해서 올라가고 현재는 반도체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며, 태양광 산업 또한 발전을 이뤄나가고 있기에 TCK의 주가는 하늘을 뚫을 기세로 상승했습니다.


아마 지난해 반도체에 관심이 많던 분들은 삼성전자가 아닌 TCK를 매수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지금까지 좋았고 무엇을 하는 기업인지를 알아봤는데요.


앞으로는 어떨지 알아보겠습니다.

TCK

>>> 반도체 장비용 소모품 공급사의 전체적인 주가 연초 대비 꾸준히 상승

티씨케이는 반도체 고단화 및 미세화에 따라 까다로워지는 식각 공정에 필요한 실리콘 카바이드 링(Solid SiC ring)을 주로 공급합니다.


주요 고객사는 미국의 식각 공정 장비 제조사이고, 주요 End user는 메모리 반도체 고객사인데요.


동종업종(반도체 장비용 소모품)에서 하나머티리얼즈, 월덱스가 동반 상승하며 연초 대비 주가 수익률은 티씨케이 약 +30%, 하나머티리얼즈 +20%, 월덱스 +25%를 기록했습니다.

>>> 2021년 전망치는 호황, 2021년 영업이익 1,037억원, 사상 최대치 전망

티씨케이는2021년에는 매출액 2,856억원(+25%YoY), 영업이익 1,037억원(+29%YoY)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은 경신할 전망인데요.


이는 삼성전자를 포함한 NAND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 속, 티씨케이의 SiC Ring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유통 재고가 빠르게 감소 중인 NAND 산업은 2Q21에 공급 부족에 들어가며 가격의 상승 전환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이에 삼성전자 등의 NAND 업체들이 수요 자극을 위한 공급의 추가 확대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해당 시기 티씨케이의 SiC Ring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특히 NAND의 단 층수가 1xx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장비의 chamber 내에 SiC를 필
요로 하는 부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긍정적입니다.

또한 티씨케이가 안성 신공장 가동으로 올해 중반기 SiC 링 생산량이 2019년 대비 50% 늘어날 것이라고 보도자료가 나왔는데요.


티씨케이는 지난 2018년에 363억원을 투입, 안성 본사 옆에 신공장을 짓는다고 공시한 바 있고 공장은 작년 상반기에 완공됐습니다.


티씨케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SiC 제품 생산량은 연간 5만3000매 수준이고 50% 확대된다면 2만6500매 가량이 추가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이는 매출 확대가 기대되는 대목 중 하나입니다.

>>> 업계에 경쟁자가 등장할까?


실리콘카바이드(SiC) 링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일본 도카이카본의 국내 자회사 도카이카본코리아(Tokai Carbon Korea : 티씨케이)가 생산량을 대폭 늘리고 있습니다.


낸드플래시 생산 확대에 따라 SiC 링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국내 고객사가 다변화를 추진하는 중인데다 경쟁 업체도 속속 생겨나고 있어 지금의 독점 지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가 업계 관심사입니다.


티씨케이는 SiC 분야에서 링 등 챔버 내 소모성 제품 업계 점유율이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전해졌고 이는 사실상 독점인데요.


이 때문에 영업이익률도 30% 중반대로 높은 수준입니다.

SIC RING

국내 대형 고객사 삼성전자는 조달처 다변화를 통한 원가절감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삼성전자는 지난해 SiC 링 생산에 성공한 디에스테크노를 주요 협력사로 등록했고 아마 마모 제품 교체 용도로 보입니다.


이러한 경쟁사 등장에 티씨케이는 특허 소송으로 강력한 방어 전략을 펼치고 있는데요.

2019년 디에스테크노를 상대로 특허 침해금지 소송을 걸었고 아직까지 소송이 진행 중입니다.


티씨케이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이 경쟁사가 생기기 쉽지 않은데요.


지금까지 쌓아 올린 탑을 얼마나 잘 지켜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티씨케이

ENG JPN --> 티씨케이 전체메뉴

www.tck.co.kr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