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껍데기, 조개껍질, 오도독뼈, 귤껍질, 오렌지 껍질, 바나나 껍질, 수박 껍질, 파인애플 껍질, 배 껍질 등 음식을 먹다 보면 다양한 음식물들이 남는데요. 각각 경우에 따라 일반쓰레기인지 음식물 쓰레기인지 정해지기에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곤 해요. 같은 과일이라고 해도, 어떤 과일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고 어떤 과일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가 되기도 하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건 귤껍질과 파인애플 껍질인데요.
귤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버리려고 하는 음식물이 음식물 쓰레기인지 일반 쓰레기인지 구별하는 방법은 [동물 사료로 사용 가능한 가] 에요. 석화나 계란 껍데기를 생각해보면 동물 사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죠. 귤껍질은 조금 애매하다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모든 귤이 그런건 아니지만 표면 광택을 위해 왁스 처리한 귤 껍질에 대해 논란이 있었어요. "왁스 처리가 된 귤껍질이 동물 사료로 적합할까?"인데요. 그냥 논란만 있을 뿐 아직까지는 모든 귤을 음식물 쓰레기에 버리는 게 맞다고 해요. 바나나, 귤, 사과 등의 껍질들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워 가축들이 먹을 수 있기에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일반 쓰레기의 기준
이외로 쪽파 뿌리나 대파 뿌리, 양파나 마늘 껍질 등은 음식물이 아니라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데요. 이건 가축들 사료로 사용하기에는 가축의 소화 능력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즉, 일반 쓰레기의 기준은 가축 사료로 사용 불가능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죠.
쪽파 뿌리나 대파 뿌리처럼 성분에 문제가 있는 것도 있지만 자체가 너무 단단해서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들이 있는데요. 옥수숫대나 고춧대, 질긴 채소, 호두 껍데기, 땅콩 껍질, 밤 껍질, 아보카도 씨, 복숭아 씨, 살구 씨 등은 너무 단단해서 일반 쓰레기로 분류하고 있어요.
비슷한 논리로 육류의 뼈나 털, 비계, 내장 등 부속들도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며 조개, 굴, 멍게, 전복같은 어패류 껍질, 랍스터나 게같은 갑각류 껍질 등도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해요.
염도가 높은 식품은?
가끔 염도가 높고 덩어리가 있는 고추장, 된장은 어디에 버려야 하는지 고민이 되는데요. 많은 양이라면 일반 쓰레기에 버리는 게 맞고, 접시에 덜어 먹고 남은 적은 양이라면 물에 씻어서 흘려보내주면 돼요. 고추장이나 된장을 일반쓰레기에 버리는 이유도 가축 사료로 사용이 어렵기 때문인데요. 고추장이나 된장은 염도가 높아서 가축 사료로는 적합하지 않아요!
정리
- 채소 마른 뿌리, 껍질은 가축의 소화능력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있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양파, 마늘, 대파)
- 복숭아, 살구, 감, 체리, 아보카도, 망고 등 핵과류의 딱딱한 씨앗이나 파인애플이나 코코넛 등의 단단한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호두, 밤, 땅콩 등 견과류의 껍질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소나 닭, 돼지 등 털과 뼈, 비계, 내장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달걀, 오리알, 메추리알 등의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홍합, 조개, 소라, 전복, 꼬막, 멍게, 굴 등의 껍데기와 생선 내장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고추장이나 된장은 염분이 많아 가축 사료로 부적합해서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 김치 같은 염장식품들은 물에 헹궈 소금기를 제거한다면 음식물 쓰레기이지만 그대로라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