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중도해지 방법, 환급금은 100% 챙겨요!
퇴사하고 싶으면 해요!
환급금도 챙기고!
"요즘 애들은 툭하면 퇴사야" 라는 말을 할 정도로 많은 분들이 이직을 시도하고 있다고 해요. 과거에나 평생직장이지 요즘은 그런 게 없으니까요. 퇴직 사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연봉을 높이기 위함과 보상에 대한 불만, 워라벨 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해요.
이런저런 이유로 [청년 내일채움 공제]를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만기 기한을 채우지 않고 중도해지를 하기도 하는데요. 이런 분들은 청년 내일 채움 공제도 중도해지 환급금이 있다는 걸 알고 계셔야 해요!
청년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환급금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어요.
청년 내일채움공제를 해지할 때 귀책사유가 본인이 아닌 회사에 있다면 환급금을 본인이 수령할 수 있게 되는데요. 만약 중소기업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면 본인이 정부 지원금과 공제부금을 모두 수령하게 되는 거죠. 반대로 본인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면 근로자 납입금과 정부 지원금만 수령받고 중소기업이 기여한 부분은 다시 회수되게 되죠.
청년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하는 방법
청년 내일채움 공제 중도해지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 공인인증서와 퇴사한 이유에 대해 증빙서류를 준비한 뒤에 pc를 준비해주세요.
- [내일 채움 공제]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 [청년 내일채움공제 바로가기]를 선택한 뒤 로그인해주세요.
- 마이페이지에 [상품 계약 관리]를 선택해주세요.
- [계약 취소/중도 해지]를 선택해주세요.
- 신청서 작성 후 퇴사일을 작성해주세요.
- 환급금을 확인하고 증빙서류 작성 내용 확인하기
- 청구사유 기입 (기업과 같은 청구사유 작성해야 함)
- 신청 완료되었는 지 전화로 확인하기
- 영업일 기준 30일 이내에 입금 예정입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책임 사유
위에서 언급했듯이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에 따라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정해지게 되는데요.
기업 책임에 따른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중도해지 사유
- 중소기업 공제가입 후 대기업으로 분류될 경우
- 중소기업의 경제적 부담
- 연속 6개월 이상 미납
- 권고사직
- 불공정 계약 파기
- 휴업 or 폐업 or 부도 or 해산
- 공제사업과 연계해 부당한 임금조정
근로자 책임에 따른 청년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사유
- 창업에 의한 퇴직
- 사업자등록
- 부정수급 행위
- 연속 6개월 이상 미납
- 경제적 부담
- 학업에 의한 퇴직
- 이직에 의한 퇴직
그 외
- 근로자 사망
- 업무상 재해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업무상 재해로 불가피한 상황에 놓였다면 근로자가 수령하게 돼요.
청년 내일 채움 공제 가입 기간에 따른 환급금
- 청년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를 할 때 본인의 귀책사유라면 중도해지를 하기 전 기업 적립금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요. 기업도 공제부금 실 적립월에 따라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게 돼요.
- 12개월 이내에 중도해지할 경우 정부지원금 및 이자는 정부가 환수하게 돼요.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기간에 따른 환급금 | ||||||||
중소기업 귀책 | 적립 회차 | 1 | 2 | 3 | 4 | 5 | 6 | 7 |
적립 주기 | 1~6개월 | 6~12개월 | 12~18개월 | 18~24개월 | 24~30개월 | 30~36개월 | 36개월 이상 | |
적립 금액 | 120만 원 | 120만 원 | 150만 원 | 150만 원 | 180만 원 | 180만 원 | 180만 원 | |
누적금액 | 120만 원 | 240만 원 | 390만 원 | 540만 원 | 720만 원 | 900만 원 | 1080만 원 | |
청년근로자 귀책 | 1080만 원 x 공제부금 적립월 x 60개월 |
반응형
댓글